온길로 안내하는 논술교육

논술로 온 길을 안내합니다.

  • 2025. 4. 14.

    by. 논술교사 온길

    목차

      이건 틀렸어보다 이렇게 하면 더 좋아라는 말이 아이를 바꿉니다

      논술 교육을 하다 보면 아이들이 반복적으로 저지르는 실수가 있습니다.

      그럴 때마다 부모님은 걱정이 앞서죠.

      이렇게 써서 괜찮을까?”

      논리도 없고, 문장이 엉성한데 어떡하지?”

      이걸 어떻게 고쳐줘야 하지?”

      하지만 중요한 것은 실수를 줄이는 것이 아니라, 그 실수를 성장의 기회로 바꾸는 피드백의 방식입니다.

       

      오늘은 초등학생이 논술 글쓰기에서 자주 하는 실수 유형을 정리하고,

      그에 맞는 학부모의 피드백 전략을 함께 소개해드릴게요.

      🧠 초등 논술에서 자주 나오는 실수 유형 TOP 5

      논술의 주제와 다른 방향으로 글을 씀

      주어진 주제: "나의 롤모델은 누구인가?"

      아이 글: "나는 강아지를 좋아한다. 왜냐하면 귀엽기 때문이다..."

      📌 실수 포인트: 주제 이해 부족, 글쓰기 전 주제 분석 부족

       

      피드백 팁:

      이 글도 참 재미있게 썼네! 그런데 이번 주제는 롤모델에 대한 이야기였거든.

      네가 강아지를 좋아하는 이유를 롤모델처럼 되고 싶은 대상으로 바꿔보면 어때?”

       

      📌 주제를 바꾸게 하지 말고, 주제와 연결될 수 있도록 안내해주는 것이 핵심입니다.

       

      문장은 있는데 논리가 없다 (이유 없이 주장만 반복)

      : “나는 ○○가 좋다. 그래서 좋다. 좋기 때문에 나는 좋다고 생각한다.”

      📌 실수 포인트: 근거 부족, 논리 구조 이해 부족

      피드백 팁:

      이 글에서 ?’라는 질문을 한 번 던져보면 어때?”

      좋다는 건 알겠어. 그런데 나도 이해할 수 있도록 이유를 더 알려주면 좋겠어!”

       

      📌 아이가 이유를 덧붙이는 습관을 가지도록 돕는 것이 논리력 향상의 출발점입니다.

       

      내용은 좋은데 문장 간 연결이 어색함

      :

      나는 피자를 좋아한다. 학교는 재미있다. 엄마는 요리를 잘한다.”

      📌 실수 포인트: 흐름 없는 문장 나열, 연결어 사용 미숙

      피드백 팁:

      문장 하나하나는 정말 잘 썼어. 그런데 이 문장들이 서로 친구처럼 연결되면 훨씬 더 멋질 것 같아!”

      앞 문장과 뒷 문장이 어떤 관계인지 생각해보자. 이어주는 말을 넣어볼 수 있을까?”

       

      📌 ‘문장 사이에 다리가 있다는 이미지로 설명해주면 이해가 쉬워집니다.

       

      문장은 길지만 핵심이 없고 내용이 반복됨

      :

      나는 자전거를 좋아한다. 자전거는 재미있다. 재미있는 자전거는 내가 좋아하는 자전거다.”

      📌 실수 포인트: 어휘력 부족, 핵심 아이디어 부재

      피드백 팁:

      이 말은 여러 번 읽었는데, 비슷한 뜻이 계속 나오고 있어.

      혹시 더 특별한 이유나 구체적인 경험을 덧붙이면 어때?”

       

      📌 반복을 지적하기보다는 더 구체적인 사례나 감정을 묻는 질문으로 확장 유도하기

      반대 의견에 대한 인식이 전혀 없음 (일방적인 주장)

      :

      나는 휴대폰을 초등학생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좋기 때문이다.”

      📌 실수 포인트: 반론·반박 훈련 부족

      피드백 팁:

      혹시 네 생각에 반대하는 사람도 있을까?”

      그 사람은 어떤 걱정을 할까? 그 생각에 너는 뭐라고 말해줄 수 있을까?”

      📌 아이가 다양한 관점에서 생각하도록 유도하면, 자연스럽게 논리의 깊이가 생깁니다.

       

      🗣 부모의 피드백, 이렇게만 바꿔도 달라집니다

      흔한 말                            바꿔 말해보기                                                                                        효과

       

      “이건 이상해” “이 문장은 어떤 뜻인지 다시 한번 설명해줄 수 있을까?” 표현력 향상 + 의도 파악
      “틀렸어, 다시 써” “이 부분을 조금 바꿔보면 더 좋은 글이 될 것 같아!” 자신감 유지
      “왜 이렇게 써?” “이렇게 쓴 이유가 궁금해. 설명해줄 수 있어?” 생각 정리 유도
      “이건 너무 짧아” “여기서 한 문장만 더 추가해보자. 예시나 경험은 어때?” 문단 확장 유도

      📌 피드백의 목적은 비판이 아니라 성장을 돕는 대화입니다.

       

      마무리하며

      초등 논술은 틀린 글을 고치는 것이 아니라, 생각을 꺼내서 다듬어가는 과정입니다.

      아이들은 글쓰기에서 실수를 합니다.

      하지만 그 실수 하나하나가 사고력을 키우고, 표현력을 다듬고, 논리를 확장하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부모님이

      이건 왜 그렇게 썼을까?”

      이 생각을 좀 더 멋지게 표현해볼까?”

      다르게 쓴다면 어떤 방식이 있을까?”

       

      이런 질문을 던져주는 것만으로도

      아이의 글은 조금씩 더 좋아지고,

      논술에 대한 두려움도 점점 사라질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