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논술 교육

논리적인 글을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법

논술교사 온길 2025. 4. 14. 06:38

아이의 문장이 달라지는 마법, ‘연결어글의 흐름훈련이 핵심입니다!

우리 아이가 쓴 글을 읽어보면 내용은 맞는 것 같은데 이상하게 어색해요.”

문장은 각각 괜찮은데 이어지는 느낌이 없어요.”

글이 중간에 끊기는 느낌이 들고, 읽는 맛이 없어요.”

 

이런 고민, 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논술은 생각을 잘 쓴 글이 아니라 생각이 잘 연결된 글이어야 합니다.

문장 하나하나가 아무리 좋아도논리적인 흐름이 없다면 글 전체가 매끄럽지 않게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아이의 글을 한층 더 매끄럽고 설득력 있게 만들어줄 

논리적인 연결 구조와 글 흐름을 잡는 훈련법을 소개해드릴게요.

 

📌 왜 글의 연결이 중요한가요?

글쓰기에서 논리성’ = 생각의 순서와 흐름입니다.

논술은 단순히 주장과 이유를 나열하는 글이 아닙니다.

주장 이유 예시 정리

하나의 생각 다음 생각으로 자연스럽게 넘어가는 흐름

이 모든 흐름이 연결어문단 사이의 관계를 통해 완성됩니다.

📌 글이 끊기지 않고 읽히는 글이 되려면문장과 문장 사이의 관계가 잘 드러나야 합니다.

🧠 초등학생도 쉽게 배우는 연결의 공식

논리적인 글쓰기를 위한 핵심은

문장 간 관계를 드러내는 말”, 즉 연결어입니다.

역할             대표 연결어                             예시 문장

추가 그리고, 또한, 게다가 나는 운동을 좋아한다. 그리고 매일 30분씩 한다.
원인 왜냐하면, 때문에, 그래서 나는 피자를 좋아한다. 왜냐하면 치즈가 맛있기 때문이다.
예시 예를 들어, 특히 나는 동물을 좋아한다. 예를 들어 고양이와 강아지를 좋아한다.
비교 하지만, 반면에 나는 수학을 좋아한다. 하지만 영어는 어렵다.
정리 그래서, 그러므로, 결국 나는 연습을 많이 했다. 그래서 대회에서 상을 받았다.

📌 연결어 하나만 잘 써도 두 문장을 하나의 흐름 있는 문단으로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 논리 흐름을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3단계 훈련법

1️⃣ 문장 이어 말하기훈련

아이에게 문장을 하나 주고,

그 다음 문장을 자연스럽게 이어보게 해보세요.

예시:

부모: “나는 동물을 좋아해.”

아이: “왜냐하면 동물은 귀엽고 나를 기분 좋게 해주기 때문이다.”

📌 : 문장을 ?’, ‘그래서?’, ‘또 뭐?’ 같은 질문으로 이어가게 유도하면 자연스럽게 흐름이 만들어져요.

2️⃣ 글 이어쓰기놀이

아이가 쓴 글에서

문장과 문장 사이에 연결어가 빠졌다면 함께 넣어보기

순서를 바꾸면 더 자연스러워질 문장을 찾아서 바꿔보기

예시:

Before:

나는 축구를 좋아한다. 나는 친구들과 자주 논다.

After:

나는 축구를 좋아한다. 그래서 친구들과 자주 축구를 하며 논다.

📌 이렇게 고쳐보는 경험을 통해

글의 흐름이라는 감각을 익히게 됩니다.

3️⃣ 문단 사이 연결 훈련

문단과 문단 사이도 자연스럽게 연결되어야 글 전체가 매끄럽습니다.

예시 흐름:

서론: “나는 학교에 동물 반이 생겼으면 좋겠다.”

본론1: “첫째, 동물을 통해 책임감을 배울 수 있다.”

본론2: “둘째, 생명 존중의 가치를 배울 수 있다.”

결론: “이러한 이유로 나는 동물 반이 꼭 생겼으면 좋겠다.”

📌 ‘첫째, 둘째, 마지막으로처럼 문단 간 논리 흐름을 드러내는 말도 논술에 꼭 필요한 연결어입니다.

💡 이런 훈련도 좋아요!

활동                                                                                      효과
연결어 카드를 만들어 순서대로 문장 만들기 사고 흐름 + 문장 전개력 향상
이유 붙이기 게임 “나는 아이스크림이 좋아. 왜냐하면…” → 문장 확장 훈련
뉴스 기사 요약 + 연결어로 정리하기 논리적 요약 훈련 + 문장 연결 감각 익히기

마무리하며

초등 논술 교육에서

무슨 말을 하느냐만큼 중요한 건 어떻게 말이 이어지느냐입니다.

 

연결어와 문단 흐름 훈련은 글이 끊기지 않고 읽는 사람이 이해하기 쉬우며

주장이 설득력 있게 느껴지도록 도와줍니다.

 

오늘부터 아이의 글을 읽을 때

왜 이렇게 말했을까?”

앞 문장이랑 잘 이어지나?”

이 문장 사이 연결어를 넣어보자!”

이렇게 하나하나 흐름을 도와주는 대화부터 시작해보세요.

 

아이의 글이 확실히 달라질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