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서론·본론·결론만 알면, 우리 아이도 논술이 쉬워져요!
논술 교육을 시작하면 부모님들이 가장 많이 하는 질문이 있습니다.
“논술은 구조가 중요하다는데, 서론-본론-결론을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요?”
“아이한테 논술 구조를 알려줘도 막상 글 쓰려면 어려워해요.”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대요.”
논술은 분명 **‘생각을 잘 정리해서 표현하는 글쓰기’**이지만,
처음부터 논리적인 글을 잘 쓰는 아이는 많지 않습니다.
그럴 때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글의 ‘틀’을 먼저 가르치는 것,
즉 서론-본론-결론 구조를 자연스럽게 익히게 하는 것입니다.
오늘은 초등학생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논술문 구조 지도법을 소개해드릴게요.
📌 왜 논술에서는 구조가 중요할까?
논술은 ‘잘 쓴 문장’보다 **‘잘 정리된 생각’**이 더 중요합니다.
논술문 구조는 아이가 생각을 나열이 아닌, 설득력 있는 흐름으로 연결할 수 있게 돕는 도구예요.
글쓰기 초보 아이들이 가장 자주 하는 실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처음부터 하고 싶은 말을 한꺼번에 쏟아내기
주제 없이 에피소드 나열
문장 자체는 괜찮은데 글 전체 흐름이 이상한 경우
이런 문제는 구조만 제대로 익혀도 절반은 해결됩니다.
🧱 논술문의 3단 구조: 서론 – 본론 – 결론
1️⃣ 서론: 글의 시작, 내 생각을 소개하는 곳
“나는 어떤 주제로 이야기할 건지”,
“내 생각은 무엇인지”를 간단히 밝히는 부분입니다.
📌 초등학생에게 이렇게 설명하세요:
“서론은 내가 말하고 싶은 주제를 소개하고, 내 생각을 딱 한 줄로 말하는 거야.”
예시:
요즘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어린이가 많다. 나는 초등학생도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2️⃣ 본론: 내 생각에 대한 이유와 근거를 설명하는 중심 부분
주장에 대한 이유를 2~3개 제시하면 가장 좋습니다.
각각에 구체적인 예시를 붙이면 더 좋습니다.
📌 초등학생에게 이렇게 설명하세요:
“본론은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이유를 차례대로 설명하는 거야. 예시나 경험을 같이 써줘도 좋아.”
예시:
첫째, 스마트폰은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게 도와준다. 예를 들어, 모르는 단어를 검색해서 바로 알 수 있다.
둘째, 가족과 연락을 할 수 있어서 안전에 도움이 된다. 부모님과 언제든 연락할 수 있기 때문이다.
3️⃣ 결론: 글을 마무리하며 다시 한 번 내 생각을 강조
서론에서 말한 생각을 다시 짧게 정리
짧은 제안이나 느낀 점을 덧붙여도 좋습니다.
📌 초등학생에게 이렇게 설명하세요:
“결론은 내 생각을 다시 한 번 말하면서 글을 정리하는 거야. ‘그래서 나는 ~해야 한다고 생각해요’처럼 쓰면 돼.”
예시:
이런 이유로 나는 초등학생도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구조 훈련, 이렇게 하면 쉬워져요!
✅ Step 1. 말로 연습하기
아이에게 말로 구조 훈련을 시켜보세요.
“무엇에 대해 말하고 싶은지?” → 서론
“왜 그렇게 생각했는지?” → 본론
“그래서 너는 어떻게 결론을 내렸는지?” → 결론
예:
주제: 반려동물을 키우는 것
서론: 나는 반려동물을 키우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본론: ① 외롭지 않다, ② 책임감을 배울 수 있다
결론: 그래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 Step 2. 카드 정리 활동
아이에게 생각 조각을 적은 카드를 주고, 서론-본론-결론 순서대로 배열해보게 하세요.
놀이처럼 하다 보면 글의 흐름을 감각적으로 익힐 수 있어요.
✅ Step 3. 글쓰기 전에 개요 짜기 연습
처음부터 글을 쓰기보다, 먼저 글의 틀을 잡는 연습을 해보세요.
주제: 학교에서 교복을 입어야 할까?
서론: 나는 입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본론: ① 친구들과의 차별 줄이기 ② 옷 고르는 스트레스 줄이기
결론: 그래서 나는 교복을 입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이런 연습을 반복하면 아이 스스로 논리의 틀을 갖추는 글을 쓰게 됩니다.
✨ 실전 예시로 구조 익히기
주제: ‘학교 숙제는 꼭 해야 할까?’
서론: 나는 학교 숙제를 꼭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본론 ① 숙제를 하면 배운 내용을 복습할 수 있다.
② 성실함과 책임감을 기를 수 있다.
결론: 이런 이유로 나는 학교 숙제를 꼭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런 3단 구조로 익힌 글은 어느 상황에서도 적용 가능합니다.
시험 대비뿐 아니라 자기 소개 글, 발표문 등 다양한 형태의 글쓰기의 기초가 되죠.
✅ 마무리하며
논술을 잘 쓰는 비결은 거창한 어휘력도, 어려운 배경지식도 아닙니다.
‘내 생각을 어떤 순서로 쓰느냐’를 아는 것,
그게 바로 서론-본론-결론 구조의 힘입니다.
초등학생은 글의 논리 구조를 체계적으로 배워본 적이 없기 때문에,
틀을 잡아주고 반복해보는 것만으로도 논술 실력이 눈에 띄게 향상됩니다.
부모님이 도와줄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논술 지도 방법은
바로 이 글쓰기 구조를 익히게 하는 것이라는 점, 꼭 기억해 주세요!
'초등 논술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상 대화에서 논술력을 키우는 습관 (0) 2025.04.12 아이의 생각을 끌어내는 부모의 질문법 (0) 2025.04.12 논술은 입시용이 아니다? 인생에 필요한 글쓰기 (0) 2025.04.12 초등 논술, 학년 별로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 (0) 2025.04.11 글을 못 써도 논술을 잘할 수 있는 이유 (0) 2025.04.11